
[목차] -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이해 - 파동의 종류 - 파동의 법칙 - 간단 요약 - 하고 싶은 이야기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이해 엘리어트 파동이론은 1978년 11월 다우지수가 790포인트이던 시절 미국의 회계사 출신이며 아마추어 분석가 랄프 넬슨 엘리어트가 자신의 저서 (파동이론 The Wave Principle)을 통해 발표한 이론으로 주가 변동을 예측하는 기법입니다. 엘리어트는 상승시장에서 상승하는 5파동과 이 5파동에대한 하락(되돌림) 3파동, 총 8개의 파동이 한 싸이클을 이루어 반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하락시장에서도 똑같이 8개의 파동이 한 싸이클이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5파동은 충격파 또는 임펄스파동(Impulse Wave)이라고 부르며, 충격파동(임펄스 파동)이 끝난뒤 5파동에 ..

안녕하세요! MoneyMaker입니다. 오늘부터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대해 같이 공부하면서 알아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저 또한 공부중이라 같이 차근차근 하나씩 알아가며 부자되는 그 날까지 화이팅 입니다! 일단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기본원칙은 주가,코인의 진행은 파동으로 나타나는데 파동은 방향성을 지닌 움직임의 패턴을 말한다. 파동의 종류는 두 종류가 있는데 용어로는 동인파동(상승,하락파동)과 조정파동이다. 이때 동인파동은 3개의 파동으로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파동이며, 조정파동은 추세를 되돌리는 파동이다. 시장에서의 추세는 5파동이라는 구조이며 1파동 3파동 5파동(동인파동)은 전체적인 움직임의 방향성을 결정짓는다. 1파동3파동5파동(동인파동)의 사이에 2파동 4파동은 두개의 조정파동이 된다. 조정파동은 방..